맨위로가기

부천시의 시내버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천시의 시내버스는 수도권 통합운임제를 적용받으며, 운송 업체, 운행 노선, 운임 체계 등을 포함한다. 부천시 면허 외에도 서울, 인천, 고양, 김포, 시흥, 안산, 광명, 안양, 군포, 양주 등 인접 지역의 운수 업체들이 부천시를 경유하는 노선을 운행한다. 과거에는 특정 노선에서 중간 지점 출발 방식을 운영했으나, 현재는 기점 출발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부천시에는 소신여객, 부일교통, 청우운수 등 여러 운수 업체가 시내버스 노선을 운영하며, 서울, 인천, 고양, 김포, 파주, 시흥, 안산, 광명, 안양, 군포, 성남, 의정부, 양주 방면으로 운행하는 시내버스 노선도 존재한다. 또한 부천시 내에는 마을버스도 운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천시의 교통 -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1호선은 대한민국 최초의 지하철 노선이자 수도권 전철의 핵심 노선으로, 1974년 개통 이후 경원선, 경부선, 경인선, 장항선 등 여러 노선을 경유하며 한국철도공사와 서울교통공사가 공동 운영하고 완행 및 급행 열차를 운행한다.
  • 부천시의 교통 - 경인고속도로
    경인고속도로는 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월동과 인천광역시 서구 가정동을 잇는 총 8차로의 고속도로로, 일부 구간의 고속도로 지정 해제 및 관리권 이관으로 현재 총연장 13.44km이며 서울, 인천, 경기를 연결하는 주요 교통 시설이지만 신월 나들목 부근은 상습 정체 구간이다.
  • 경기도의 버스 교통 - 평택대시외버스정류장
    평택대시외버스정류장은 고속버스와 시외버스 노선이 운행되며, 서울경부 방면 고속버스와 수도권 및 충청권 방면 시외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 경기도의 버스 교통 - 안중시외버스터미널
    안중시외버스터미널은 경기도 평택시 안중읍에 위치하며 수도권 및 충청권 지역을 연결하는 고속버스, 시외버스, 시내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서울경부, 인천, 안산, 인천국제공항, 당진, 평택 등의 주요 노선과 평택여객, 협진여객 등의 시내버스 노선을 이용할 수 있는 매표소, 대기 공간, 편의시설을 갖춘 터미널이다.
  • 대한민국의 버스 노선 - 홍성군의 농어촌버스
    홍성군의 농어촌버스는 충남교통운수에서 시작하여 홍주여객이 주요 운수업체로서 노선번호제를 통해 운영 체계를 개선하였고, 지역 특성을 반영한 노선번호와 함께 2024년 1월 기준 카드 1,400원, 현금 1,500원의 운임이 적용된다.
  • 대한민국의 버스 노선 - 담양군의 농어촌버스
    담양군의 농어촌버스는 담양군과 인근 지역을 연결하는 대중교통 수단으로, 단일 요금제를 적용하며, 동광담양고속이 운행한다.
부천시의 시내버스
버스 교통 정보
지역부천시
구분시내버스
부천시내버스 88번
부천시내버스 88번
관리 기관부천시청 교통관리과
차적지경기도 부천시
운행 지역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시흥시, 광명시
노선수52
인가대수828
지불 정보
지불 수단현금, 교통카드
선불카드마이비, 레일플러스, 캐시비, 탑패스, 티머니, 한페이
하나로
후불카드국민, 농협, 롯데, BC, 삼성, 수협, 신한,
씨티, 제주, 하나카드, 현대
웹사이트
사이트부천시 버스정보 시스템 홈페이지
경기도 버스정보 시스템 홈페이지

2. 운임 체계

부천시의 시내버스는 시외버스를 제외하고 수도권 통합운임제를 적용받는다.[2] 각 통행거리를 합산하여 총 통행거리에 비례하여 운임을 부과하며, 기본거리 이내 이동 시 기본운임만 부과된다.[2] 기본거리 초과 시 5km마다 100원이 추가된다.[2] 시내일반버스의 기본거리는 10km, 일반좌석, 직행좌석, 인천 면허의 광역버스와 공항버스의 기본거리는 30km이다.[2]

환승할인 또한 수도권 통합운임제의 기준을 따른다.[2] 국가유공자는 무임 승차가 가능하며, 6세 미만 어린이의 경우 보호자 동반 1인에 한해 무임 승차가 가능하다.[2] 6세 미만 어린이가 2인 이상인 경우 초등학생 운임이 적용된다.[2] 인천 면허 노선은 2009년 10월 10일부터 환승할인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2]

2. 1. 환승 할인

부천시의 시내버스는 시외버스를 제외하고 수도권 통합운임제를 적용받는다.[2] 각 통행거리를 합산하여 총 통행거리에 비례하여 운임을 부과하며, 기본거리 이내 이동 시 기본운임만 부과된다.[2] 기본거리 초과 시 5km마다 100원이 추가된다.[2] 시내일반버스의 기본거리는 10km, 일반좌석, 직행좌석, 인천 면허의 광역버스와 공항버스의 기본거리는 30km이다.[2]

환승할인 또한 수도권 통합운임제의 기준을 따른다.[2] 국가유공자는 무임 승차가 가능하며, 6세 미만 어린이의 경우 보호자 동반 1인에 한해 무임 승차가 가능하다.[2] 6세 미만 어린이가 2인 이상인 경우 초등학생 운임이 적용된다.[2] 인천 면허 노선은 2009년 10월 10일부터 환승할인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2]

3. 운수 업체

3. 1. 시내버스

도원교통, 부일교통, 부천버스, 성광운수, 성일운수, 소신여객, 청우운수 등이 부천시의 시내버스를 운행하고 있다.[3] 2021년 1월 기준으로, 소신여객은 20개의 노선과 316대의 차량을 보유하여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하며, 이 중에는 직행좌석 1개 노선(4대), 일반좌석 1개 노선(16대), 시내일반 18개 노선(296대)이 포함된다.[3] 도원교통은 3개 노선(78대), 부일교통은 10개 노선(123대), 부천버스는 3개 노선(128대), 성광운수는 5개 노선(78대), 성일운수는 1개 노선(4대), 청우운수는 11개 노선(120대)을 운행한다.[3]

운행업체노선 수등록 대수
도원교통378
부일교통10123
부천버스3128
성광운수578
성일운수14
소신여객20316
청우운수11120


3. 2. 관외 운수 업체

서울세풍운수, 신길교통, 인천강인교통, 강인여객, 공영급행, 세운교통, 삼환교통, 선진여객, 송도버스, 신강교통, 신화여객, 인천교통공사, 인천제물포교통, 천지교통, 인천스마트, 고양고양교통, 광주경기고속, 김포김포운수, 시흥시흥교통, 안산경원여객, 양주진명여객 등이 부천시 면허가 아닌 관외 운수 업체이다.

4. 과거 첫차 및 막차 운행 방식

부천시내버스의 노선들 중 비교적 장거리 구간을 운행하는 일부 노선은 운행 거리와 상관없이 첫차가 기점에서 일괄적으로 출발하는 방식이 아닌, 운행 노선의 중간 지점에서 차량이 출발하는 방식으로 운영된 적이 있다. 과거 부천시내버스 88번이 이러한 방식으로 운영되었는데, 2013년 3월 31일까지 시행한 첫차 운행 시간표는 다음과 같다.

부천시내버스 88번 첫차 운행시간표 (~2014.03.30)
대장공영차고지 → 여의도
출발 정류장첫차
대장공영차고지03:50
청천파출소03:40
구산사거리 (송내역)03:40
여의도환승센터04:20



하지만 2014년 3월 31일부터 부천시의 시정 명령에 의해 88번 버스의 각 기/종점 첫차 운행시간표가 변경되어, 중간 지점에서 차량이 출발하는 방식에서 기점에서 일괄적으로 출발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중간 지점에서 출발하던 버스 첫차는 모두 폐지되었으나, 시민들의 민원에 의해 2014년 7월 7일부터 88-1번이라는 지선 형태로 송내남부역에서 출발하는 노선을 운행하기 시작했다. 이 노선은 송내남부역에서 출발하고 새벽 시간에만 운행하는 점만 다를 뿐 송내역 ~ 여의도 구간은 기존 88번 노선과 동일하다.

부천시내버스 88번 첫차 운행시간표 (2014.7.7~)
대장공영차고지 → 여의도
출발 정류장첫차비고
대장공영차고지03:2088번
송내남부역03:4088-1번 5회 편도 운행
(03:40, 03:45, 03:50, 03:55, 04:00)
여의도 → 대장공영차고지
출발 정류장첫차비고
여의도환승센터04:25


5. 차량 안내방송

현재 부천 면허의 모든 노선에서는 차량 안내방송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양진텔레콤으로 대부분 안내방송 담당 회사가 통일되어 있는 서울 면허의 차량과는 달리 운행업체에 따라 서로 다른 안내방송 제작업체의 것을 사용하고 있어 서울 시내버스에서 발견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견되고 있다.

부천 지역의 버스 노선 중에는 개별업체의 안내방송을 사용하는 노선들이 있으며, 영어 안내방송을 일부 정류소에서만 하는 경우가 있다.

이 외에도 일부 노선에서 실시되는 안내방송의 경우, 같은 정류장에 정차하는데도 운행업체마다 다른 회사의 안내방송을 사용해 노선들 간의 정류소 명칭이 다르게 방송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역곡1동 역곡북부역 앞에 위치한 같은 정류장을 52번에서는 '롯데리아'로, 12번, 23-5번에서는 '역곡북부역'으로 안내한다.

6. 청라~화곡 간선급행버스체계 (BRT)

부천시는 인천축 간선급행버스체계에 속해있다.

7. 시내버스 노선

번호운행업체운행구간경유지배차
간격
(분)비고5소신여객고강공영차고지↔테크노파크까치울4(까치울역), 역곡역, 부천역, 부천시청6~9저상버스 운행5-3소신여객부천역↔금강마을대성병원, 부천보건소, 원미고교, 심원초교, 신중동역5~75-4소신여객부천역↔부천체육관북문대성병원, 부천보건소, 무지개·미리내마을, 부천시청, 홈플러스 부천상동점, 세이브존, 테크노파크9~116소신여객전진A↔부천시청정명고교, 부천역, 부천대학교, 부천소방서10~126-2소신여객전진A↔부천터미널부천역, 부천고교, 부천시청, 홈플러스 부천상동점8~138소신여객대장공영차고지↔고강동테크노파크, 부천시청, 순천향대병원, 복사골문화센터, 반달마을, 송내역, 부천역, 부천종합운동장역, 여월동, 원종47~12저상버스 운행12-1도원교통괴안동↔대장동소사초교, 부천역, 중동역, 송내역, 반달마을, 순천향대병원, 은하마을, 부천세무서, 약대동, 오정동, OBS6~10저상버스 운행19성광운수옥길지구↔대장공영차고지범박동, 역곡역, 소사역, 부천역, 부천공고, 중동역, 순천향대병원, 신흥시장, 테크노파크13~15저상버스 운행25소신여객범박동↔깊은구지역곡역, 소사어울마당, 부천역8~15저상버스 운행27성광운수송내역부천터미널복사골문화센터, 푸른마을, 홈플러스 부천상동점3~6저상버스 운행33성일운수송내역↔대림아파트벛꽃마을, 하얀마을, 부천터미널, 진달래마을5~955부일교통시온고등학교↔역곡역소사초교, 괴안4, 부천동중교5~655-1부일교통시온고등학교↔역곡역동남4, 부천동중교12~1456부일교통부천터미널↔소사고등학교부천시청역, 심원초교, 원미어울마당, 풍림아파트, 소사역, 소사어울마당, 소사본3동주민센터, 소새울역7~858청우운수은행단지↔덕산중학교국립과학수사연구소, 수주중고교, 원종종합시장, 오정농협, 오정어울마당24~3058-A
따복버스청우운수20~30출퇴근 시간대 운행58-B
따복버스대장공영차고지↔부천종합운동장오정산업단지, 오정휴먼시아3단지, 덕산중교, 오정어울마당, 원종동, 까치울중교, 부천종합운동장역20~3009:00~18:00 운행58-1청우운수은행단지↔까치울역국립과학수사연구소, 고강선사유적공원, 성곡중교10~1560청우운수테크노파크↔옥길지구신흥시장, 삼정4, 도당동, 성곡4, 부천종합운동장역, 소사역7~11저상버스 운행66성일운수송내역↔옥길지구벚꽃마을, 하얀마을, 홈플러스 부천상동점, 부천시청, 신중동역, 부천대학교, 부천역, 소사역, 소새울역13~15저상버스 운행95성광운수대장공영차고지↔소사초등학교오정동, OBS, 원종4, 여월동, 부천종합운동장역, 소사역7~12


7. 1. 부천시내 노선

번호운행업체운행구간경유지배차
간격
(분)비고5소신여객고강공영차고지↔테크노파크까치울4(까치울역), 역곡역, 부천역, 부천시청6~9저상버스 운행5-3소신여객부천역↔금강마을대성병원, 부천보건소, 원미고교, 심원초교, 신중동역5~75-4소신여객부천역↔부천체육관북문대성병원, 부천보건소, 무지개·미리내마을, 부천시청, 홈플러스 부천상동점, 세이브존, 테크노파크9~116소신여객전진A↔부천시청정명고교, 부천역, 부천대학교, 부천소방서10~126-2소신여객전진A↔부천터미널부천역, 부천고교, 부천시청, 홈플러스 부천상동점8~138소신여객대장공영차고지↔고강동테크노파크, 부천시청, 순천향대병원, 복사골문화센터, 반달마을, 송내역, 부천역, 부천종합운동장역, 여월동, 원종47~12저상버스 운행12-1도원교통괴안동↔대장동소사초교, 부천역, 중동역, 송내역, 반달마을, 순천향대병원, 은하마을, 부천세무서, 약대동, 오정동, OBS6~10저상버스 운행19성광운수옥길지구↔대장공영차고지범박동, 역곡역, 소사역, 부천역, 부천공고, 중동역, 순천향대병원, 신흥시장, 테크노파크13~15저상버스 운행25소신여객범박동↔깊은구지역곡역, 소사어울마당, 부천역8~15저상버스 운행27성광운수송내역부천터미널복사골문화센터, 푸른마을, 홈플러스 부천상동점3~6저상버스 운행33성일운수송내역↔대림아파트벛꽃마을, 하얀마을, 부천터미널, 진달래마을5~955부일교통시온고등학교↔역곡역소사초교, 괴안4, 부천동중교5~655-1부일교통시온고등학교↔역곡역동남4, 부천동중교12~1456부일교통부천터미널↔소사고등학교부천시청역, 심원초교, 원미어울마당, 풍림아파트, 소사역, 소사어울마당, 소사본3동주민센터, 소새울역7~858청우운수은행단지↔덕산중학교국립과학수사연구소, 수주중고교, 원종종합시장, 오정농협, 오정어울마당24~3058-A
따복버스청우운수20~30출퇴근 시간대 운행58-B
따복버스대장공영차고지↔부천종합운동장오정산업단지, 오정휴먼시아3단지, 덕산중교, 오정어울마당, 원종동, 까치울중교, 부천종합운동장역20~3009:00~18:00 운행58-1청우운수은행단지↔까치울역국립과학수사연구소, 고강선사유적공원, 성곡중교10~1560청우운수테크노파크↔옥길지구신흥시장, 삼정4, 도당동, 성곡4, 부천종합운동장역, 소사역7~11저상버스 운행66성일운수송내역↔옥길지구벚꽃마을, 하얀마을, 홈플러스 부천상동점, 부천시청, 신중동역, 부천대학교, 부천역, 소사역, 소새울역13~15저상버스 운행95성광운수대장공영차고지↔소사초등학교오정동, OBS, 원종4, 여월동, 부천종합운동장역, 소사역7~12


7. 2. 서울 방면

부천시에서 서울특별시로 운행하는 시내버스는 다양한 노선과 운행 업체로 구성되어 있다.

소신여객이 운행하는 3번 버스는 소사공영차고지에서 김포공항까지 운행하며, 소사역, 부천역, 중동역, 부천종합운동장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0~15분이며 저상버스로 운행한다.

부천버스가 운행하는 10번 버스는 옥길지구에서 여의도환승센터까지 운행하며, 역곡역, 오류동역, 개봉역, 구일역, 구로역, 신도림역, 영등포역, 여의나루역, 국회의사당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0분이며 저상버스로 운행한다. 83번 버스는 대장공영차고지에서 여의도환승센터까지, 88번 버스는 대장공영차고지에서 여의도환승센터까지 운행하며, 두 노선 모두 송내역, 중동역, 부천역, 소사역, 역곡역, 오류동역, 개봉역, 구일역, 구로역, 신도림역, 영등포역을 경유한다. 83번 버스는 5~8분, 88번 버스는 3~5분 간격으로 운행하며 저상버스로 운행한다.

시흥교통이 운행하는 12번 버스는 삼미시장에서 김포공항까지 운행하며, 시흥시 면허이다. 역곡역, 소사역, 부천역, 춘의역 등을 경유하며 배차 간격은 8~10분이다. 5200번 버스는 시화유통상가에서 신도림역까지 운행하는 직행좌석 버스이며, 시흥시 면허이다. 오류동역, 개봉역, 구일역, 구로역을 경유하며, 배차간격은 15~25분이다.

소신여객이 운행하는 23번 버스는 송내역에서 화곡역까지 운행하며, 배차 간격은 10~20분이다. 저상버스로 운행한다. 70-2번 버스는 춘의동에서 국회의사당역까지, 70-3번 버스는 부천상동에서 영등포역까지 운행한다. 70-2번 버스는 5~6분, 70-3번 버스는 5~10분 간격으로 운행하며, 70-2번은 화곡역, 당산역을, 70-3번은 송내역, 화곡역, 당산역을 경유한다. 70-2번 버스는 저상버스로 운행한다. 700번 일반좌석 버스는 부천상동(송내역)에서 여의도까지 운행하며, 부천종합운동장역, 당산역, 영등포역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0~15분이며 심야버스도 운행한다.

도원교통이 운행하는 50번 버스는 송내역에서 김포공항까지, 50-1번 버스는 포도마을에서 고강공영차고지까지 운행한다. 50번은 5~10분, 50-1번은 10~15분 간격으로 운행하며, 두 노선 모두 저상버스로 운행한다.

부일교통이 운행하는 52번 버스는 웅진플레이도시에서 온수역까지 운행하며, 소사역, 역곡역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0~15분이며 저상버스로 운행한다. 56-1번 버스는 고강동에서 부천남부생태공원까지 운행하며, 까치울역, 부천종합운동장역, 소사역, 천왕역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5~20분이며 저상버스로 운행한다. 56-2번 버스는 소안초등학교에서 천왕역까지 운행하며, 배차 간격은 20~45분이다. 57번 버스는 소사고등학교에서 온수역까지 운행하며, 역곡역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1분이며 저상버스로 운행한다. 57-1번 버스는 옥길지구에서 온수역까지 운행하며, 배차 간격은 9~12분이다.

청우운수가 운행하는 59번 버스는 부천터미널에서 화곡역까지, 59-1번 버스는 아인스월드에서 화곡역까지 운행한다. 두 노선 모두 배차 간격은 6분이며 저상버스로 운행한다. 60-1번 버스는 고강공영차고지에서 소사어울마당까지 운행하며, 화곡역, 신중동역, 부천역, 소사역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6~10분이며 저상버스로 운행한다. 77번 버스는 부천종합운동장역에서 고강공영차고지까지 운행하며, 까치울역, 화곡역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0~20분이며 저상버스로 운행한다.

소신여객이 운행하는 71번 버스는 소사공영차고지에서 방화동까지 운행하며, 소사역, 부천역, 송정역, 김포공항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2분이며 저상버스로 운행한다.

성광운수가 운행하는 98번 버스는 오정어울마당에서 오목교역까지 운행하며, 까치울역, 신정네거리역, 신정역, 목동역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0~17분이며 저상버스로 운행한다. 99번 버스는 옥길전기차충전소에서 옥길지구까지 운행하며, 역곡역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30~40분이며 저상버스로 운행한다.

신길교통이 운행하는 606번, 661번, 673번 버스는 모두 부천상동에서 출발하여 서울 시내로 운행하는 서울시 면허 버스이다. 606번 버스는 광화문역까지 운행하며, 부천역, 화곡역 등을 경유하고 배차 간격은 8~12분이다. 661번 버스는 영등포역까지 운행하며, 부천역, 화곡역 등을 경유하고 배차 간격은 10~27분이다. 673번 버스는 이대부속고등학교까지 운행하며, 송내역, 화곡역 등을 경유하고 배차 간격은 7~15분이다. 세 노선 모두 저상버스로 운행한다.

세풍운수가 운행하는 6614번 버스는 양천공영차고지에서 옥길지구까지 운행하며, 서울시 면허이다. 신정네거리역, 신정역, 목동역, 오류동역 등을 경유하며, 배차 간격은 10~18분이다.

인천교통공사가 운행하는 7700번 BRT 버스는 청라국제도시에서 화곡역까지 운행하며, 인천시 면허이다. 배차 간격은 15~20분이다.

천지교통이 운행하는 1300번, 1301번, 1302번 버스는 모두 인천시 면허의 광역버스이다. 1300번 버스는 동막역에서 신촌, 서울역까지 운행하며, 합정역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0~20분이다. 1301번 버스는 인천대학교에서 서울역까지 운행하며, 합정역, 신촌역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5~20분이다. 1302번 버스는 원동초등학교에서 서울역까지 운행하며, 합정역, 신촌역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20~30분이다.

신강교통이 운행하는 1601번 광역버스는 인천시 면허로, 용현동(인하대학교)에서 신촌, 서울역까지 운행하며, 합정역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5~30분이다.

선진여객이 운행하는 9300번 광역버스는 인천시 면허로, 청라국제도시에서 강남역까지 운행하며, 송내역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25~50분이다.

7. 3. 인천 방면

부천시에서 인천광역시로 운행하는 시내버스는 여러 노선이 있다. 송도버스에서 운행하는 8번 버스는 인천대학교 송도신도시에서 출발하여 해양경찰청, 동막역, 인하대학교, 석바위, 만수동을 경유하여 송내역까지 운행하며, 배차 간격은 5~8분이다. 세운교통의 11번 버스는 문학경기장역에서 가좌동까지 운행하며, 인천터미널, 길병원, 만수동, 인천대공원, 송내역, 부평역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1~13분이다. 삼환교통에서 운행하는 14-1번 버스는 서창동에서 인천나비공원까지 운행하며, 인천대공원, 송내역, 동수역, 백운역, 산곡동, 청천동을 경유한다. 배차간격은 10분이다.

소신여객의 16번 버스는 송내역에서 삼산농산물시장까지 운행하며 복사골문화센터, 하얀마을, 진달래마을, 상인초교를 경유한다. 이 노선은 저상버스로 운행되며 배차 간격은 5~10분이다. 송도버스의 16-1번 버스는 동춘동에서 송내역까지 논현지구, 도림동, 수산동, 담방마을, 인천대공원을 경유하여 운행하며, 배차 간격은 9~11분이다. 성광운수에서 운행하는 20번 버스는 송내역에서 고강공영차고지까지 운행하며, 한국폴리텍2대학(송내), 부천고교, 부천역, 소사어울마당, 가톨릭대학교, 까치울역, 까치울초교, 성곡중교, 수주초교를 지난다. 배차 간격은 14~18분이다.

제물포교통의 30번 버스는 왕길동에서 송내역까지 완정역, 원당동, 계양역, 귤현역, 계산역, 작전역, 부평역, 백운역, 간석오거리역, 모래내시장역, 만수동, 수현마을을 경유하며, 배차 간격은 7~8분이다. 신화여객의 37번 버스는 삼산고등학교에서 수현마을까지 삼산동, 삼산체육관역, 부천시청, 복사골문화센터, 송내역,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동수역, 만수동을 경유하며, 배차 간격은 16분이다. 마니교통의 47번 버스는 율도근린공원에서 서창동까지 가정역, 가정중앙시장역, 석남동, 산곡동, 부평시장역, 부평역, 송내역, 인천대공원을 경유하며, 배차 간격은 16분이다.

부일교통의 53번 버스는 소사고등학교에서 계양경찰서(롯데마트 계양점)까지 소사어울마당, 소사역, 부천역, 중동역, 송내역, 복사골문화센터, 홈플러스 부천상동점, 삼산체육관역, 삼산동, 작전동을 경유하며, 배차 간격은 9~11분이다. 선진여객의 80번 버스는 원창동에서 송내역까지 루원시티, 작전역, 롯데마트 계양점, 삼정4, 부천시청을 경유하며, 배차 간격은 7~10분이다. 같은 회사에서 운행하는 87번 버스는 계양대교에서 송내역까지 동양지구, 임학역, 롯데마트 계양점, 삼산동, 홈플러스 부천상동점, 부천시청을 경유하며, 배차 간격은 7~10분이고 저상버스를 운행한다.

강인여객의 103-1번(인천 시내좌석) 버스는 동춘동에서 십정동까지 동춘역, 논현2지구, 만수3지구, 송내역, 부개1동, 만월산터널, 간석동을 경유하며, 배차 간격은 10~13분이다. 강인교통의 302번(인천 공항좌석) 버스는 송내역 복사골문화센터에서 인천국제공항 왕산해수욕장까지 부천체육관, 계산역, 공촌4,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를 경유하며, 배차 간격은 9~11분이다. 삼환교통의 급행99번(인천 급행간선) 버스는 호반베르디움아파트, 글로벌파크베르디움, 캠퍼스타운역에서 송내역까지 동막역, 도림주공A, 남동구청, 인천대공원을 경유하며, 배차 간격은 19~34분이다.

7. 4. 고양, 김포, 파주 방면

고양교통에서 운행하는 직행좌석버스 1001번은 대화역, 국립암센터에서 중동역, 부천대학교까지 운행하며, 백석역, 외곽순환고속도로, 부천터미널, 복사골문화센터, 송내역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25~30분이며, 고양시 면허이다.[4] 대원고속의 5000번 직행좌석버스는 문산터미널부천터미널 사이를 운행하며, 문산역, 월롱역, 금촌, 운정사거리, 이마트 탄현점, 일산시장, 일산경찰서, 마두역, 백석역, 계산역, 경인교육대학교, 작전역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40~60분이고, 광주시 면허이다.[4] 김포운수에서 운행하는 직행좌석버스 9008번은 김포시 장기지구에서 중동역, 부천대학교까지 운행하며, 고촌, 외곽순환고속도로, 부천터미널, 복사골문화센터, 송내역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5~20분이며, 김포시 면허이다.

7. 5. 시흥, 안산, 광명, 안양, 군포 방면

화영운수에서 운행하는 2번 버스는 은계지구에서 안양역까지 운행하며 옥길지구, 천왕동, 광명사거리역, 광명시청, 철산역, 하안동, 소하동, 박달동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5~8분이며, 광명시 면허이다.

소신여객에서 운행하는 23-2번 버스는 소사공영차고지에서 상동라일락마을까지 운행하며 시흥대야역, 은계지구, 계수동, 범박동, 소새울역, 부천역, 부천대학교, 신중동역, 부천시청역, 부천터미널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6~15분이다.

시흥교통에서 운행하는 31번 버스는 포동에서 부천소방서까지 운행하며 신현역, 미산동, 소래중고교, 신천역, 롯데마트 시흥점, 은행지구, 시흥대야역, 여우고개, 부천역, 부천대학교를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0~15분이며, 시흥시 면허이다.

시흥교통에서 운행하는 31-3번 버스는 능곡동에서 부천소방서까지 운행하며 능곡지구, 연성지구, 신현역, 미산동입구, 소래중고교, 은행지구, 시흥대야역, 여우고개, 부천역, 부천대학교를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0~20분이며, 시흥시 면허이다.

경원여객에서 운행하는 31-7번 버스는 안양호계동에서 부천역차고지까지 운행하며 산본시장, 금정역, 명학역, 안양1번가, 박달동, 범고개, 목감동, 칠리저수지, 매화동, 은행동, 신천역, 삼미시장, 대야동, 여우고개를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0~20분이며, 안산시 면허이다.

경원여객에서 운행하는 38번 버스는 매화동에서 부천역차고지까지 운행하며 은행동, 신천역, 삼미시장, 대야동, 여우고개를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2~15분이며, 안산시 면허이다.

경원여객에서 운행하는 61번 버스는 안산반월공단에서 부천터미널까지 운행하며 안산역, 신길지구, 도일시장, 군자동, 장곡동, 시흥시청역, 연성지구, 신현역, 미산동입구, 신천역, 삼미시장, 대야동, 여우고개, 부천역, 부천대학교, 신중동역, 부천시청역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5~20분이며, 안산시 면허로 저상버스를 운행한다.

소신여객에서 운행하는 75번 버스는 고강동에서 광명역까지 운행하며 원종동, 부천종합운동장역, 부천역, 중동역, 부천공고, 소사초교, 역곡역, 오류동역, 개봉역, 가산디지털단지역, 독산역, 소하동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8~11분이며, 저상버스를 운행한다.

소신여객에서 운행하는 G8808번 직행좌석 버스는 소풍터미널에서 범계역.동안경찰서까지 운행하며 송내역→시흥요금소→광명역→안양1번가→비산사거리를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30~40분이다.

7. 6. 성남, 의정부, 양주 방면

경기고속에서 운행하는 8106번 버스는 오리역에서 출발하여 복사골문화센터와 송내역까지 운행한다. 주요 경유지는 미금역, 이매촌한신A, 경부고속도로, 청계요금소, 시흥하늘휴게소, 시흥요금소, 부천터미널이다. 배차 간격은 15~20분이며, 광주시 면허로 운행된다.

진명여객에서 운행하는 8906번 버스는 덕정역에서 출발하여 범계역까지 운행한다. 주요 경유지는 양주신도시, 경기도청북부청사, 의정부터미널, 의정부역, 송추, 양주요금소, 김포요금소, 복사골문화센터, 송내역, 시흥요금소, 안양1번가이다. 배차 간격은 30~75분이며, 양주시 면허로 운행된다.

7. 7. 마을버스

부천시 관내에는 마을버스 회사인 부일교통, 소신여객, 청우운수, 오정버스에서 마을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8. 갤러리



참조

[1] 웹인용 시내버스 면허현황 http://bis.bucheon.g[...] 2011-06-18
[2] 뉴스 오늘부터 인천도 대중교통 통합 환승 할인 https://news.naver.c[...] MBC 2009-10-10
[3] 간행물 버스 등록 현황 https://www.gg.go.kr[...] 경기도청 2021-03-29
[4] 문서 과거 50번 운행 정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